Load
Load
> 내과건강검진센터 > 성인병클리닉
성인병 클리닉
성인병 클리닉
성인병은 생활습관이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병’입니다.
체지방 증가, 혈압 상승, 혈당 상승, 혈중 지질 이상 등 주로 대사기능에 문제가 생기므로 ‘대사증후군’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조금씩 위험요인이 누적되었다가 중·장년층이 되었을 때 특정질환으로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비만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로 몸무게가 정상 기준보다 많이 나가거나 체지방 비율이 높을 경우 진단하며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비만의 진단
체중측정, 체질량 지수 측정
비만의 치료
식사 및 운동요법
체질량 지수 측정
체중(kg) ÷ 키(m)² =
BMI(Body Mass Index)
18.5 미만
저체중
18.5~22.9
정상
23~24.9
과체중
25이상
비만
당뇨병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작용하지 않아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대사질환으로 다뇨, 심한 갈증, 체중 감소 등의 증상과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납니다”
당뇨병의 진단
경구 당부하검사, 요당검사, 당화혈색소, 혈당검사
당뇨병의 치료
식사 및 운동요법, 혈당강하제 복용, 인슐린 주사요법
당뇨병의 종류
제1형 당뇨병
(인슐린 의존형)
췌장에서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아 발생하며,
우리나라 당뇨병의 2% 미만을 차지합니다.
일반적으로 30세 이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2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몸의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면서 인슐린의 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고혈당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당뇨병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보통 40세 이상 연령에서 발생되며 최근 젊은 환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뇨병의 혈당수치
*내용이 잘려서 보일 경우 좌우로 밀면서 보십시오
분류 | 정상 | 공복 혈당장애 | 내당능 장애 | 당뇨 판정 |
---|---|---|---|---|
공복 혈당 | 100mg/dl 미만 | 100~125mg/dl | 100~125mg/dl | 126mg/dl 이상 |
식후 2시간 경과 혈당 | 140mg/dl 미만 | 140~199mg/dl | 140~199mg/dl | 200mg/dl 이상 |
고혈압
“고혈압은 방치할 경우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신부전 등 전신에 걸쳐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며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고혈압의 진단
혈압 측정 시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일 경우
고혈압의 치료
식사 및 운동요법, 약물요법
고혈압의 종류
1차성(본태성) 고혈압
전체 고혈압 환자의 95%를 차지하며 평소에도 혈압이
기준치(140/90mmHg) 이상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이며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
2차성 고혈압
2차성 고혈압은 다른 질병이 원인이 되는 경우로 신장 내 부신종양
발생이 가장 많으며 신동맥 질환, 알도스테론증, 내분기계 이상 등 다양하다.
2차성 고혈압은 원인 질환을 제거하게 되면 치료가 가능하다.
혈압의 분류
*내용이 잘려서 보일 경우 좌우로 밀면서 보십시오
분류 | 고혈압 전 단계 |
고혈압1기 | 고혈압2기 | 정상 |
---|---|---|---|---|
수축기 혈압 | 120~139 mmHg |
140~159 mmHg |
160mmHg 이상 | 120mmHg 미만 |
이완기 혈압 | 80~89 mmHg |
90~99 mmHg |
200mmHg 이상 | 80mmHg 미만 |
고지혈증
“혈액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많은 상태인 고지혈증은 유전적 요인 또는 비만, 술, 당뇨병 등과 같은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도 있습니다.”
고지혈증의 진단
혈액검사를 통한 검사로 총 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일 경우
고지혈증의 치료
식사 및 운동요법, 약물요법
고지혈증 진단 기준(mg/dl)
분류 | 총 콜레스테롤 | LDL-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 | 중성지방 |
---|---|---|---|---|
주의 | 200 이상 | 130 이상 | 40미만(남)/ 50미만(여) |
150 이상 |
위험 | 240 이상 | 160 이상 | - | 200 이상 |